공공데이터포털 API받아오기 ( 1 )
사용한 API
https://www.data.go.kr/tcs/dss/selectApiDataDetailView.do?publicDataPk=15101578
한국관광공사_국문 관광정보 서비스_GW
코드조회 및 관광정보의 통합/상세 검색 및 위치기반,지역기반 등 국내 관광에 대한 전반적인 상세정보를 국문관광정보로 제공한다.
www.data.go.kr
사용법
인증키 받기
공공데이터포털 로그인(회원가입) 후에 사용하고싶은 api를 검색한다.
여행계획 프로젝트를 짜야해서 각 지역의 숙소/ 식당 / 관광 정보가 담겨있는 API를 사용했다.
오른쪽 상단의 활용신청 버튼을 누른다.
이런식으로 하단의 활용목적을 작성하면 된다.
필요한 기능 선택 후 동의, 일일트래픽은 하루에 몇 번 조회할 것인가? 그것의 최대 횟수를 이야기하는 것 같다.
맨 하단의 활용신청 버튼을 누르게 되면 활용 신청은 완료 되었다. 신청이 완료되어도 바로 사용은 불가능한 것 같고 1~2시간 후에 사용 할 수 있는 것 같다.
모두 완료 되었으면 오른쪽 상단의 [마이 페이지]를 눌러 이동한다.
API신청 클릭
하단에 내가 지금 사용할 API 클릭
서비스정보의 일반 인증키가 내가 사용할 수 있는 인증키가 된다.
Base URL
저 Base URL + 뒤에 사용할 통신프로토콜 주소를 합쳐야 내가 원하는 정보들을 얻어올 수 있다!
API호출 주소 확인
호출 주소에 따라 얻어올 수 있는 정보가 다 다르다. 나는 지역별 관광 / 숙박 / 식당 정보가 필요해서 이걸 사용했다!
파라미터 확인
호출 주소를 클릭하면
이런게 쭉 나오게 되는데 *표시는 필수 입력정보이다. 이 것들이 GET방식의 쿼리스트링으로 뒤에 들어가게 된다.
이렇게 되면 Base URL + API호출 주소?파라미터=입력값&파라미터2=입력값2 이게 API주소가 되는 것이다!
내가 입력한 정보로 예를 들면
https://apis.data.go.kr/B551011/KorService1/areaBasedList1?MobileOS=ECT&MobileApp=Test
가 되는 것이다. 이걸 PostMan 을 사용해 서울의 숙박업소를 뽑아보도록 하겠다.
이 때, *이 붙은 파라미터는 모두 입력해줘야 한다. 그리고 내가 추가로 입력해야 하는 지역코드(서울), 관광타입(숙박)도 함께 입력해줘야 내가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.
관광타입은 이런식으로 코드번호가 정해져있는데 지역코드는 내가 노가다로 찾아냈다ㅠㅠ
하단의 접은글에 지역코드 적어놓겠다! 혹시 참고하실 분들은 참고하세오
PostMan
메소드 호출 방식과 url을 상단에 입력해준다.
나는 이렇게 되겠다. 그리고
이 부분에 아까 우리가 필요했던 파라미터들을 입력해주면 된다.
요런식으로. 그럼 얘가 똑똑하게 알아서
상단에 쿼리스트링을 입력해준다. 오른쪽 위의 send를 누르면
이런식으로 정보들이 나오게 된다. 2편에서 다시,,,,
https://codding-child.tistory.com/41
공공데이터포털 API받아오기 ( 2 )
https://codding-child.tistory.com/40 공공데이터포털 API받아오기 ( 1 ) 사용한 API https://www.data.go.kr/tcs/dss/selectApiDataDetailView.do?publicDataPk=15101578 한국관광공사_국문 관광정보 서비스_GW 코드조회 및 관광정보
codding-child.tistory.com
지역코드↓
서울 | 1 |
인천 | 2 |
대전 | 3 |
대구 | 4 |
광주 | 5 |
부산 | 6 |
울산 | 7 |
세종 | 8 |
경기 | 31 |
강원 | 32 |
충북 | 33 |
충나 | 34 |
경북 | 35 |
경남 | 36 |
전북 | 37 |
전남 | 38 |
제주 | 39 |